본문 바로가기

면역력 떨어지는 겨울철 대상포진 예방과 무료 접종

콤비 2025. 1. 13.

최근 왼쪽 귀 뒤쪽 두피에 수포가 올라오면서 머리 감을 때 엄청 고통스러웠다. 처음에는 두피 트러블인 줄 알고 그냥 있었는데 점점 더 심해지고 두통과 컨디션이 점점 안 좋아져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더니 대상포진 진단을 받았다. 그래서 대상포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반응형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띠 모양 발진이라는 뜻으로 피부에 붉은 수포(물집)가 번지며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소아기 수두에 걸리면 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피부에 염증, 통증, 물집등을 유발한다.

대상포진은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에게 나타난다. 그래서 50대 이상에서 발병률이 높다. 인간면역결픽바이러스(HIV) 감영 환자, 함암 치료 중인 사람, 과로나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일시적으로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이면 젊은 사람이라도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다.

대상포진 증상

대상포진은 신경이 있는 부위라면 어디든 발생할 수 있다. 주로 몸통이나 엉덩이, 얼굴에 많이 생기는데 눈, 코, 잎, 귀, 사타구니, 항문 등에도 생기는 경우가 있다.

대상포진 발병 초기 증상

1. 고열과 몸살 증상이 나타난다.
2. 통증이 시작된다. 대상포진 통증은 칼로 베거나 후벼 파는 듯한 통증이 강하게 나타난다.
3. 피부에 발진(종기), 수포(물집)이  생긴다.

반응형

발병 부위에 따른 합병증

대상포진이 몸통이나 엉덩이쪽에 생기면 합병증으로 이어질 경우는 적다. 하지만 대상포진이 눈 주변 또는 이마에 발생하면 두통과 결막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뺨이나 귀에 생기면 안면신경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필자는 왼쪽 귀 뒤쪽 두피 쪽에 생기면서 편두통이 심하게 발생했다. 

대상포진 치료

대상포진이 의심되면 바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치료 골든타임은 수포가 생긴 지 3일(72시간)이다. 치료 골든타임 때 항바이러스제 투여, 신경 치료를 받아야 효과적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포진 후 만성 신경통 등 후유증에 시달릴 가능성도 줄어든다. 만약 골든타임이 지났을 경우 치료 기간이 크게 길어질 수 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

대상포진은 면역력 저하로 발생하기에 예방주사를 맞는게 제일 좋다. 그래서 소아시절 수두 발병과 관련 없이 50대 이후에는 대상포진 예방주사를 맞는 것을 권장한다. 대상포진 백신은 약독화 생백신, 우전자 재조합 백신 이렇게 두 개의 종류가 있는데 유전자 재조합 백신을 추천한다. 유전자 재조합 백신의 경우 임상 3상 결과 50세 이상 성인에게 97.2% 높은 유효성을 기록했다. 그래서 대한감염학회도 유전자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을 우선 권고했다.

대상포진 예방 접종 비용

아쉽지만 대상포진 예방 접종은 국가필수예방접종에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대상포진 예방접종 백신의 가격은 상당히 비싼편이다.

백신 접종 횟수 가격 항체생성률
조스타박스(약독화 생백신) 1회 약 17만원 60~70%
스카이조스터(약독화 생백신) 1회 약 15만원 60~70%
싱크릭스(유전자 재조합 백신) 2회 2회에 약 50~60만원 97.2%

대상포진 실비 청구 여부

실손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대상포진으로 인한 치료비 보상받을 수 있다. 하지만 대상포진 예방접종에 대한 실비 보험은 받을 수 있다. 실비 보험은 치료 목적의 경우에만 보장하는 보험이라 예방 목적의 예방접종은 실비 보험청구가 불가능하다.

대상포진 무료 예방 접종

반응형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대상포진에 대한 심각성을 알고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무료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정부도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국가예방접종에 포함시켜 무료로 진행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 중이다.

현재 주민등록상 등록되어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게 좋다. 일반적으로 60대 이상 고령층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무료 예방접종을 진행하고 있다. 

필자는 병원에서 대상포진 진료 후 6개월 후에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하는게 좋다고 했다. 마음 같아선 예방접종을 하고 싶은데 비용이 부담돼서 고민이 많이 된다.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게 규칙적인 식생활 습관을 갖도록 노력해야 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