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역류성식도염 증상과 원인 예방 방법(하부식도괄약근)

반응형

역류성식도염은 위 속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발생하는 염증으로 과음, 과식 등 잘못된 식습관이 원인이다. 역류성식도염은 흔한 질환이라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발률이 높고 식도암 같은 중대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서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역류성식도염 증상

역류성식도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가슴이 타는 듯한 통증이다. 속이 쓰리거나 화끈거리고 위액과 신트림이 자주 올라온다. 그리고 음식이 식도를 내려가는 속도가 늦거나, 중간에 걸려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역류하는 위산으로 후두가 손상되면 만성 기침이나 목소리가 갑자기 쉬는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역류성식도염 증상

역류성식도염은 식도 궤양, 출혈, 협착같은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식도염이 장기간 지속되면 식도에 반복적으로 상처가 나고 아무는 과정에서 식도 편평세포가 변형되면서 바렛식도가 나타날 수 있다. 바렛식도는 식도암 전단계로 분류한다.

역류성식도염 원인

역류성식도염 원인으로는 하부식도괄약근 기능 저해, 복부 비만, 식사 직후 자세 등이 있다.

하부식도괄약근 기능 저해

위산이 역류하는 이유는 하부식도괄약근이 제기능을 못해서 발생한다. 하부식도괄약근은 위와 식도 경계 부위에 위치한 근육으로 음식을 삼킬 때 만 괄약근이 열리고 그 이외에는 괄약근이 닫혀 위 내용물이 식도로 못 올라오게 하는 밸브 역할을 한다. 만약 괄약근 조절 기능에 약해지거나 느슨해지면 역류를 막지 못하게 된다.

하부식도괄약근 역할

하부식도괄약근 기능을 저해하는 요소로는 기름진 음식, 음주, 흡연, 커피, 초콜릿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학업 스트레스, 자극적이고 기름진 음식을 선호하는 나쁜 식습관으로 소아청소년에게도 발병률이 높아졌다.

복부 비만

복부 지방은 복부 압력을 높여 위 내용물을 식도로 밀어낸다.

식사 직후 자세

식사 직후 몸을 눞히거나 구부려 위 내용물이 식도와 가까워지면 역류 가능성이 높아진다.

역류성식도염 예방과 치료

역류성식도염 환자는 금연, 금주는 필수다. 그리고 커피, 콜라, 홍차, 오렌지 주스, 토마토 주수, 초콜릿 등 위산 분비를 자극하고 하부식도괄약근 기능을 약화시키는 음식들은 피해야 한다.

과체중이나 비만인 경우 체중 감량만으로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잠잘 때는 상체를 약간 높게 해서 눕거나 왼쪽으로 눕는 자세가 좋다. 음식물과 위산이 올라오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한 자세다. 오른쪽으로 누우면 위장의 상부 식도 연결 통로가 아래 방향으로 향해 음식물이 식도 옆으로 역류할 가능성이 커진다. 식후 최소 3시간 동안은 눕지 않는 게 좋다.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때는 위산 억제제 복용으로 식도가 스스로 아물 시간을 벌어주는 게 좋다. 다만 재발 가능성이 높아 장기 복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관련 포스팅

경추척수증 증상과 치료 예방 방법(경추척수증, 목디스크, 뇌졸중 구분)

 

경추척수증 증상과 치료 예방 방법(경추척수증, 목디스크, 뇌졸중 구분)

요즘 잦은 스마트폰과 PC 사용으로 경추척수증 환자가 늘고 있다. 경추척수증은 대표적인 경추 질환으로 경미한 외장으로도 하지 마비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다. 경추척수증 증

jedonk.com

대표적 심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원인과 증상 예방법

 

대표적 심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 원인과 증상 예방법

심장은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는다. 그런데 혈관이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벽이 좁아지거나 혈전이 혈관을 막으면 심장에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면서 심장질환이 발

jedonk.com

겨울철 손과 발 끝이 차가워지는 말초혈액순환장애, 레이노증후군, 동맥경화

 

겨울철 손과 발 끝이 차가워지는 말초혈액순환장애, 레이노증후군, 동맥경화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에는 유독 손발 시림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어난다. 추운 날씨로 손발이 차가워지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과도하게 손발이 차고 시리다면 큰 통증

jedonk.com

출처 : 커피·초콜릿 피하고 잘 때는 왼쪽으로 - 매경이코노미

반응형